부자고정 시 탈구의 메커니즘과 대책 ( 수정 보완 )
메커니즘 1
골두 모형 실험결과 , 아기의 커다란 경체각 140 도 때문에 다리를 90 도로 접으면 , 뼈머리 중심점이 관골구 가장자리 가까이 내려감
만약 내선된 상태에서 위의 자세를 잡으면 관골구 가장자리에 뼈머리의 목이 걸려 탈구됨 , 하방 탈구 .
본부에서 아기에게는 내선 교정 금지라 배웠는데 , 그 이유를 이제 알게됐음 . 아기의 외선이 큰 이유도 .
대책 : 외선 외전 상태 유지가 핵심
ㄱ . 외선시킴 , 그러나 너무 외선시키면 , 이미 40 도 가량 외선된 상태라서 , 전방탈구 위험성 .
ㄴ
1 : 외선시켜야 할 쪽만의 발목 부근의 부목을 길게하여 , 발과 함께 확실히 붕대로 감아 외선유지
2 : 주의서에는 피흐름 장애 등의 경우 , 부모가 집에서 석고를 자르고 그 위에 붕대를 감으라 되어 있으나 , 속의 붕대 묶음이 느슨해져 있어 내선 상황이 벌어져 있을 가능성 큼 .
따라서 , 집에서 석고를 자르는 것을 엄금시켜야함 .
찍찍이 계획 폐기
ㄷ . 허리 끼움쇠를 철판으로 튼튼하게 만듦 ? 철사 수를 2 배로 ?
ㄹ . 엉덩이들 뺀 상태에서 내전시키면 , 역시 하방탈구되니까 , 다리 좁히지 못하게 허리끼움쇠를 확실히 끼움 .
ㅁ . 만약 탈구되면 , 3 차원 CT , 골절 치료 , 뼛조각 제거 , 마취 후 정복 가능한 정형외과로 !!!
ㅂ . 가모시타 류의 미리 계산하여 외선시키고 외전시키는 교정 ?
ㅅ . 강제로 엉덩이 빼지 못하게 , 항문 위까지 오는 뺌 방지판을 장착 ?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메커니즘 2
옆으로 누워 , 대전자가 눌린 상태에서 다리를 좁히면 탈구 ,
끼움쇠는 철사라 다리 좁혀짐
---> 대전자 부근 부목 제거 ?